몽골/재밋는몽골이야기

제1장 유라시아 초원의 세계(몽골고원의 부족국가)

몽골승마클럽 2007. 1. 13. 14:41

제1장 유라시아 초원의 세계
몽골고원의 부족국가

몽골/ 나이만/ 케레이트/ 타타르/ 메르키트/ 삼림부족
---------------------------------------------
몽골

흉노이래 몽골고원을 점령한 사람들은 유라시아 초원의 대표자가 되었는데 840년, 예니세이강 유역에 있던 키르키즈족이 남하하여 위구르를 무너뜨리자 농경지로 개발된 오르콘 강 유역은 다시 초원지대로 버려졌으며, 몽골고원은 예전의 부족, 씨족, 하위씨족 체제인 수많은 울루스들로 나뉘어, 이후 3세기 반이란 긴 세월동안 서로 싸우게 됨으로서 시리아-소그드 문명이 꽃핀 이전보다 문화적으로도 뒤쳐졌다. 이동안 키타이의 힘이 고원을 덮었으며, 계속하여 금나라의 힘이 이곳에 미쳤다. 금나라는 고원의 유목민들이 뭉치는 것을 두려워하여 조금이나마 힘있는 세력이 나오면 다른 세력을 지원하여 서로 싸우게 하였으며, 이것이 먹히지 않으면 직접 대군을 몰아와 쳐부순 결과, 고원은 계속 어둠에 싸여 있었다.

당나라 시대의 실위 연맹체에 속하던 몽골은 당시의 정세변동을 틈타 바이칼의 삼림지대에서 오논강과 케룰렌호 일대로 옮겨 계절이동을 하였다. 이로서 몽골인이 사는 곳은 남쪽의 초원지대와 북쪽의 삼림지대에 걸치게 되었다. 따라서 몽골은 이전의 수렵생활에서 점차 반수렵 반유목생활로 바뀌면서 옆에있는 여러 세력들과 싸워 나가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모두 사냥꾼이었다. 삼림에서는 한겨울에 나무나 뼈로 만든 스케이트를 신고 담비와 시베리아 다람쥐를 사냥하였으며 초원에서는 올가미나 활을 들고 영양과 사슴을 사냥하였다. 그때의 몽골은 모전천막(게르)을 바퀴가 달린 수레위에 세워, 쿠리엥이라는 원형 또는 임시 밀집대형으로 지냈다. 몽골은 목축을 함에따라 소, 양, 낙타, 말, 모피 등의 물건을 키타이(요)와 바꾸었다. 그러나 키타이는 철의 반출을 금하였으므로 이들은 뼈를 이용하여 화살촉을 만들었다. 이런 상태는 금나라 때에야 겨우 풀어졌다.

몽골부는 오논강 일대의 보르지긴계와 케룰렌호, 에르군네강 일대의 비보르지긴계로 크게 나뉘어진다. 보르지긴계는 다시 키야트와 타이치우드로 분리되는데, 이둘은 1130년경 힘을 합쳐 몽골울루스를 세웠다. 몽골울루스의 카불칸은 콩기라트씨가 타타르부와 싸우자 콩기라트편에 서서 타타르부와 9차례나 싸웠다. 또한 암바카이칸이 차강-타타르에 사로잡힌 후에는 이들과 원수가 되었지만 몽골울루스는 여러 노얀들의 난립상태에 빠져 들어갔다. 그러나 비보르지긴계 몽골족인 되르벤, 카타긴, 살지우트 등은 몽골울루스가 무너지자 타타르부와 공생의 길을 찾았다. 이러한 경향은 1180년대에 이르러 더욱 확실하게 되었다.

칭기스칸이 태어난 가문은 보르지긴 씨족의 키야트에 속한다. 칭기스칸이 승리를 거둔 이후 몽골부족들은 키야트와의 관련 여부에 따라 두 범주로 분류하게 되었다. 키야트는 니룬, 즉 빛의 아들로 순수한 혈통을 간직한 자들이고 다른 하나는 두를루킨으로 이들은 열등한 출신으로 간주되었다. 니룬에는 몽골고원 북쪽과 바이칼호 동쪽에 살고 있었던 타이치우드, 우루우트와 망구트, 잘라이르, 바룰라스, 바아린, 되르벤, 살지우트, 카타긴 등이 포함되었다. 두를루킨에는 아룰라트, 바야우트, 코롤라스, 술두스, 이키레스, 콩기라트 등이 해당되었다.

나이만

12세기 몽골서부의 주도권은 몽골화한 투르크족 나이만부에 있었다. 키르기즈족이 위구르를 무너뜨릴 때 나이만부는 본거지인 알타이 산맥에서 이들과 연합하였으며, 그후 세력을 점점 키워, 마침내 키르기즈족을 예니세이강 지역으로 몰아내고, 케레이트부도 이르티쉬 강과 알타이 산맥에서 밀어냈다. 또 키타이(거란)도 북중국으로 이동하였다. 나이만은 카라-이르티쉬 강에서부터 오르콘 강까지 차지하였다.

나이만부는 투루판 분지로 이동한 위구르에서 문자등 내륙아시아 문화를 받아들여 행정 및 재정조직을 잘 갖추었으며 위구르-투르크어를 사용하였다. 나이만은 불교와 네스토리우스 기독교도 받아들였으나, 샤머니즘적인 요소가 많았으며 나이만의 군주들은 최고의 샤먼(무당)이었다. 나이만부는 오이라트부, 옹구트부, 메르키트부와는 우호적이었으며 케레이트부와 카라키타이와는 적대적이었다.

케레이트

10세기초 키타이(요)제국이 몽골고원에 진출하여 외몽골 중앙부에 진주건안군이란 도시를 건설한 후부터 케레이트부는 친위병과 잘 조직화된 군대를 가지고 200년간 번영하였다. 케레이트부는 타타르부와 함께 동몽골고원의 강자로서 나이만부와는 적대적이어서 그 뒤에 있는 카라키타이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였다. 케레이트부와 오논강의 보르지긴계 몽골족은 우호관계를 유지하였으나 에르군네 강쪽의 비 보르지긴계와는 적대적이었다. 또 케레이트의 왕족들은 네스토리우스 기독교를 받아들여 기독교 세례명을 가지고 있었다.

칭기스칸의 두세대 전에 마르구즈-부이룩이라는 케레이트 왕은 동몽골고원의 패권을 꿈꾸고 타타르부와 싸웠으나 패하여 금의 수중으로 넘겨져 나무 당나귀에 못박혀 죽었으며 그의 아들 쿠르자쿠즈의 사후에는 그의 아들 토오릴이 왕위에 올랐다. 토오릴은 금나라의 지원을 받아, 타타르부를 침으로써 동몽골의 가장 강력한 지배자가 되었으며, 이때 금나라는 그에게 왕이라는 칭호를 주자, 토오릴은 중국식과 투르크식의 이중 칭호인 옹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타타르

타타르는 어느 유목민보다도 부유하였으며 동몽골에서 가장 강력한 부족이었다. 이들은 모두 7만가구 약 35만명으로 케룰렌강과 중부 대흥안령산맥 사이의 부유르호와 훌룬호 부근에서 살았다. 이곳은 은이 풍부하여 그들은 은세공에 능하였다. 타타르는 때로는 9성 타타르로, 때로는 30성 타타르로 연맹을 이루고 있었으나 차강, 알치, 도타오트, 알로카이, 쿠인, 테레이트 등 여섯 개의 씨족집단이 크게 알려져 있었다. 이들은 금나라의 큰 위협이었으므로 금나라는 이들이 정치적 통일세력을 이루지 못하도록 지도층 사이에 반목과 불화를 부추겼다. 그들은 금나라에 봉사하기도하고 반란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타타르부 중 알치-타타르는 부르칸산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케레이트와 치열한 격전을 벌여 케레이트군 4만명을 전멸시켰다. 이후 타타르와 케레이트는 적이 되었다. 타타르부와 인접한 옹구트부는 금나라의 감시를 받았으므로 서로연합을 할 수 없었다. 1180년대까지 타타르와 몽골간에는 큰 충돌이 없었다.

메르키트

메르키트부는 바이칼호 남쪽의 셀렝가강 하류에서 고기잡이와 수렵 그리고 모피를 팔아 살아갔는데 이들은 야만적이고 호전적이어서 동몽골의 유목민들은 이들에게 끊임없이 약탈 당하였다. 순록을 길들여 말처럼 타닌 이 부족과 몽골부는 카불칸 때에는 서로 우호적이었으나, 몽골울루스가 와해되고 각 세력이 제각기 난립하자 메르키트부는 당시 신흥세력인 자무카를 공격하는등 적대적이 되었다. 더욱이 메르키트부가 테무진의 아내 보르테를 약탈하자 메르키트부와 테무진은 극한대결을 벌이게 되었으며, 메르키트부는 테무진과 대결하기 위해 몽골고원내 여러 세력을 규합하게 되었다.

삼림부족

바이칼호 지역에 사는 오이라트등 삼림부족들은 수렵과 어로를 생업으로 하고, 토속신앙을 가지고 개별적으로 살았으므로 결속력이 크게 떨어졌다. 삼림에는 고유의 생활양식에 만족한 자들과 약탈능력을 상실한 유목부족이 살았다. 당시의 몽골고원에는 수렵민과 유목민간의 갈등 외에도, 초원에서 양을 치는 사람들과 말을 기르는 사람들 사이에 일어나는 싸움도 격렬하였다. 또 귀족적인 부족질서의 옹호자들과 새로이 등장하는 세력 사이의 대항, 그리고 부족구조 안에서의 출생과 지위에 대하여 개인의 능력, 운명, 업적을 중시하는 입장 등이 맞섰다. 이상과 같이 몽골고원의 주요 유목부족들은 서로 톱니바퀴같이 관련을 맺고 균형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균형은 칭기스칸에 의하여 깨지게 되었다.